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정렬알고리즘
- 코딩
- 리액트
- 자바스크립트
- 코드최적화
- 힙한취미코딩
- 스파르타코딩
- 알고리즘책
- 알고리즘책추천
- 짝수의평균구하기
- CSS
- 코딩테스트
- 개발도서
- 스파르톤
- HTML
- 타입스크립트
- 이벤트맛집
- 알고리즘
- 알고리즘문제
- 평균온도구하기
- 웹개발종합반
- 알고리즘도서
- 개발책추천
- 자료구조책
- 자료구조
- 개발도서추천
- 힙한취미
- 스파르타코딩클럽
- 누구나자료구조와알고리즘
- 빅오표기법
- Today
- Total
Run with coding
Javascript 연산자 모음 : ! !! ? ?? << >> && || 본문
! , !! = 부정 연산자
! (NOT) : 피연산자를 boolean형(true / false)으로 변환한다.
true 면 false 로, false 면 true로 값을 반대로 변환한다.
example
!true // false
!false // true
!null // true (null은 false이기 때문에 true로 반환된다)
!! : 값을 boolean형으로 변환할 수 있다.
첫번째 ! 는 피연산자로 받은 값을 boolean형으로 변환한 후 이 값의 역을 반환하고,
두번째 ! 는 첫번째 ! 연산자가 반환한 값의 역을 반환한다.
(처음엔 이게 도대체 무슨 말인가 싶었다 ^^;;)
example
!! "string" // true
! : 첫번째 ! 연산자는 "string"을 boolean형으로 변환한 후 (true겠죠?) 이 값의 역을 반환 (false를 최종 반환하겠군요!)
! : 두번째 ! 연산자는 첫번째 연산자가 반환한 값(false를 반환했었죠?)의 역을 반환(true를 최종 반환하겠군요!)
즉, "string"이 true라는 건 우리 모두 알고 있지만 컴퓨터가 "string"이 true라는 값을 반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연산자입니다!
? = 옵셔널 체이닝
? : 객체의 속성이 없는 경우, typeError가 발생하지 않고 undefined가 반환된다.
example
const object = { a: 'lalalala' }
object.a.length // 8
object.b.length // Uncaught TypeError: Cannot read properties of undefined (reading 'length')
obj.b?.length // undefined
즉, ? 를 사용한다는 것은 난 이게 있을 지 없을 지 몰라~ 라는 것을 컴퓨터에게 미리 알려주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!
미리 알려줬기 때문에 에러를 내뱉지 않고 undefined를 내뱉는 것이지요!
?? = NULL 병합 연산자
?? : 앞에 오는 값이 null 또는 undefined이라면 뒤에 오는 값을, 아니면 null 또는 undefined를 반환한다.
example
null ?? true // true
undefined ?? console.log('haha') // haha
const u = 10
u ?? console.log('u는 null or undefined') // 10
<< , >> = 비트 이동 연산자
<< : 왼쪽으로 비트를 밀어내는 연산자
example
8 << 3 // 1000(8) > 왼쪽으로 세 번 밀림 > 1000000(64) > " 64 "
>> : 오른쪽으로 비트를 밀어내는 연산자
example
32 >> 2 // 100000(32) > 오른쪽으로 두 번 밀림 > 1000(8) > " 8 "
&& = 논리곱 연산자
&& : 모든 조건이 참이여야 true
example
true && true // true
true && false // false
false && true // false
false && false // false
|| = 논리합 연산자
|| : 둘 중 하나만 참이면 true
example
ture || true // true
true || false // true
false || true // true
false || false // false
'Javascript | Type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eact에서 TypeScript 사용하기 2탄 (state에 type 설정하기) (0) | 2022.03.24 |
---|---|
React에서 TypeScript 사용하기 1탄 (기본 사용법 with styled-components) (0) | 2022.03.23 |
TypeScript를 사용하는 이유? (0) | 2022.03.18 |
JavaScript 기초 문법 : 간단요약 한번에 정리하기 (0) | 2021.12.15 |